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컬처타임즈

유틸메뉴

UPDATED. 2024-03-18 18:16 (월)

본문영역

[松延유수현 에세이] 중국에서는 ‘오빠 열풍’이 불고 있어요.
상태바
[松延유수현 에세이] 중국에서는 ‘오빠 열풍’이 불고 있어요.
  • 松延유수현 칼럼니스트
  • 승인 2020.04.15 10: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류로 인해 생긴 중국어 단어 ‘어우니(欧尼), 어우바(欧巴)’

방송에서 한류열풍이 전 세계에 분다는 뉴스를 들을 때마다 필자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이 늘 자랑스럽다. 한국에 있을 때는 잘 몰랐는데, 필자가 중국에 유학 가서 중국인들에게 한류에 관한 질문을 받을 때면 기분이 좋아 어깨가 으쓱해졌다.

한 번은 필자가 KBS 드라마 시사회의 순차통역을 맡은 적이 있었다. 작가의 말을 청중에게 전달하고, 청중들의 의견을 다시 작가에게 전달하는 통역이었는데, 통역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왜냐하면 그 당시 필자가 중국에서 유학 중이어서 한국 드라마를 잘 몰랐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출처/ 별에서 온 그대 드라마 홈페이지)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출처/ 별에서 온 그대 드라마 홈페이지)

여자들이 대부분 그렇지만, 필자도 드라마를 좋아해 한국에 있을 때는 인기 드라마는 꼭 챙겨 봤다. 하지만 중국으로 유학 간 후에는 공부하기도 바빴고, 당시에는 학생 신분이었던 만큼 유료로 한국 방송을 보기에는 부담이 되었다. 그래서 간혹 인터넷 기사로 한국 인기 드라마 소식만 접할 뿐 자세한 내용은 잘 몰랐다. 그런데 하필 드라마 시사회 통역을 맡았으니, 난감할 수밖에 없었다.

통역하려면 드라마 내용을 훤히 알고 있어야 하는데, 제목이나 겨우 알기 급급했던 필자는 어찌해야 하나 고민에 빠졌다. 그러다 갑자기 뇌리에 스쳐 지나가는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필자의 중국 친구였다. 이 중국 친구는 지금까지도 필자의 절친인데, 마침 이 친구가 한국 드라마의 광팬이었다. 언젠가 한 번 이 친구 집에 놀러 갔는데, 친구 책장에 책 보다 한국 드라마 DVD가 더 많이 꽂혀있어 필자가 웃었던 적이 있었다.

한국 드라마 ‘태양의 후예’도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다. (출처/ 바이두)
▲한국 드라마 ‘태양의 후예’도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다. (출처/ 바이두)

필자는 당장 이 친구한테 전화를 걸어 도와달라고 SOS를 청했고, 친구가 한 걸음에 달려와 KBS 인기 드라마의 줄거리를 공책에 인물관계도까지 상세히 그려주며 필자에게 친절히 설명해줬다. 그렇게 1대 1 드라마 과외(?)를 몇 시간에 걸쳐 중국 친구에게 끝내주게 받았다. 그리고 며칠 뒤, 그 친구 덕에 통역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처럼 한국 드라마가 해외에서 국위 선양을 하고 있다. 특히 ‘별에서 온 그대’와 ‘태양의 후예’ 등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냈다. 이와 같은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중국어 신조어가 생겨났다. 처음에 필자가 이 단어를 중국어로 들었을 때, 발음이 한국어와 거의 비슷해 한국말을 하는 줄로 착각했는데, 알고 보니 중국어였다. 현재 한류 열풍으로 생겨난 단어가 당당히 중국 신조어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독자 여러분에게 이 단어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류로 인해 생겨난 신조어를 독자 여러분에게 소개하고자 한다.(출처/ 픽사베이)
▲한류로 인해 생겨난 신조어를 독자 여러분에게 소개하고자 한다.(출처/ 픽사베이)

1. 친구 亲故[qīngù]: 한국어 ‘친구’ 발음을 중국어로 음역해서 만든 단어로 중국어로 ‘친구’라고 읽는다.

2. 언니 欧尼[ōuní]: 한국어의 ‘언니’ 발음을 중국어로 음역해서 만든 단어로 중국어로‘어우니’라고 읽는다.

3. 오빠 欧巴[ōubā]: 이 역시 한국어의 ‘오빠’ 발음을 중국어로 음역해서 만든 단어로 중국어로 ‘어우바’라고 읽는다.

4. 습니다. 思密达[sīmìdá]: 한국어의 ‘습니다’의 발음을 중국어로 음역해서 만든 단어로 중국어로 ‘스미다’라고 읽는다.

5. 사랑해요. 撒浪嘿哟[sǎlànghēiyō] 한국어의 ‘사랑해요’의 발음을 중국어로 음역해서 만든 단어로 중국어로 ‘사랑헤이요’라고 읽는다.


글을 쓰다 보니 필자가 겪었던 일이 또 생각난다. 필자가 동시통역할 때는 말의 속도가 붙어 더욱더 빠르게 통역한다. 그리고 공식적인 자리이다 보니 늘 ‘~습니다’로 끝을 맺곤 한다.

이때 중국인들은 한국어를 못 알아들으니 필자가 뭐라고 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말이 끝날 때마다 ‘~습니다’란 말이 귀에 익었나 본지 통역을 마치고 나오는 필자에게 “한국어는 습니다만 붙이면 되는군요”라고 말하면서 필자에게 “니하오(你好: 안녕하세요? ) 습니다”, ‘‘워아이니(我爱你:사랑해요) 습니다”, “이얼싼(一二三:하나 둘 셋) 습니다”라고 중국어 뒤에 무조건 '습니다'를 붙여 말했다. 필자가 그 말을 듣고 웃음이 나서 중국어로 “谢谢(xièxie: 감사합니다) 습니다”라고 화답했더니, 센스 있다며 옆에 계신 분들이 같이 웃으셨던 적이 있었다.


중국인과 만나는 자리에서 한국인으로서 긍지를 가지고 이런 한류열풍으로 생긴 신조어로 같이 농담도 하면 분위기가 화기애애할 것이니, 중국인과 만날 기회가 있으면 꼭 이 신조어를 사용해 보라고 권하고 싶다.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 독자분들의 후원으로 더욱 좋은 기사를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Adel 2020-05-04 13:21:22
전에 한살 어린 중국 친구(남성)에게 姐姐는 '언니' 라고 한다고 나보고 앞으로 언니라고 부르라며 장난을 쳤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그 친구 어머님이 한국드라마 광팬이셔서 다음날 바로 들통났었어요ㅋㅋ 암튼, 외국에서 한국드라마 좋아하시는 분들 보면 괜히 뿌듯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작품이 많이 만들어져서 더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주요기사
이슈포토

    하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