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함께 고민해야 할 교육의 방향 논의
유은혜 교육부장관은 17일, ‘제2기 미래교육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주어진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함께 고민하고, 새로운 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마련되는 자리다.
그동안 대한민국 교육은 전면 원격수업 운영 등 전례를 찾을 수 없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교육적 변화를 미래로 나아가는 동력으로 발전·승화시켜,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을 도모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교육부는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와 관련하여 ‘①감염병 등 위기 상황에서도 배움과 성장의 지속성 확보, ②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보편적 교육 보장, ③현장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교원의 전문성·자율성 존중, ④미래 환경 변화를 적극 수용한 선제적 대응, ⑤학생 건강과 안전의 최우선 보장’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 및 방향 하에 미래교육 혁신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교원, 시민, 정책수요자, 전문가 등과 열린 대화를 연속적으로 추진하여 현장의 의견을 듣고 미래교육의 비전 및 전략 등을 수립해나가고자 한다.
한편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의 예고와 함께 열린 미래교육위원회 2기 출범식에서는 2020년 미래교육위원회 2기 위원들을 소개하고 위원회의 취지와 앞으로의 활동계획을 안내하였다.
이어, 2부 전체회의에서는 먼저, 교육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함께 고민해야 할 교육의 방향 및 분야 등을 제시하였고 영역별로 미래교육의 방향과 현장 변화를 이끌어낼 방안에 대해 심층 토의를 진행하였다.
이 자리에서 유 교육부장관은 참석한 미래위원들에게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과제를 마련하는 데 미래위원들이 아낌없이 역량을 발휘해 달라.”라고 당부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