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컬처타임즈

유틸메뉴

UPDATED. 2024-04-20 10:16 (토)

본문영역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토지 관리 연관된 신라 목간 출토...6세기대 토지 관리 문서로 추정
상태바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토지 관리 연관된 신라 목간 출토...6세기대 토지 관리 문서로 추정
  • 백석원 기자
  • 승인 2019.12.09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세기대에 작성된 토지관리 문서 목간 적외선 촬영 사진(출처/문화재청)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화랑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 중인 경산 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구간의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지난 3일 공개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에 이어 신라 시대 토지와 관련한 목간이 추가로 확인됐다.

길이가 74.2㎝에 이르는 목간은 사람 얼굴 모양 토기의 아래에서 출토됐으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수습 및 응급보존처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6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진행한 1차 판독을 통해 굽은 나무의 표면을 다듬어 만든 총 6면에 걸쳐 약 94자의 글자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2면은 글자를 연습한 흔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록된 글자의 서체나 내용으로 보아 오늘날 경상북도 경산 인근 지역의 토지 현황을 기록한 ‘6세기대에 작성된 토지관리 문서 목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목간에 기록된 글자 가운데 ‘곡과 답, 제’ 등이 주목된다. 이번에 발견된 목간을 통해 골짜기를 배경으로 형성된 일정한 집단이 있었으며 둑이 조세 부과와 연관 있다는 점도 드러났다. 이를 통해 골짜기와 둑을 중심으로 한 당시 지방 촌락의 입지,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해 축조한 제방과 그 주변에 자리하고 있는 논의 존재 그리고 그곳을 대상으로 조세를 수취하는 중앙 정부의 지배 양상을 동시에 엿볼 수 있게 됐다.

또한, 논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우리 고유의 한자인 답을 사용했다는 점과 이 밖에 조세 부과를 위한 토지 면적 단위는 결이나 부를 사용했다는 점도 밝혀졌다.

우리나라 고유의 한자인 답은 종래에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처음 등장한다고 여겨졌는데, 목간에 등장하는 답을 통해 목간의 제작연대도 비슷한 시기임을 추정할 수 있다.

토지 면적 단위인 결과 부는 지금까지 삼국통일 이후 사용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에 발견된 목간을 통해 그 사용 시기를 6세기까지 올려볼 수 있게 됐다. 따라서 당시 신라의 지방 지배와 토지를 중심으로 한 경제활동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이번에 출토된 목간은 한국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목간은 1차 판독이 완료된 상황으로 관련학계와 함께 추가적인 판독 및 연구 과정을 거쳐 목간에 대해 더 다양한 해석과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발굴조사 현장은 오는 11일 오후 2시에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 3일 공개한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물론, 함께 출토된 다른 토기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목간은 유물의 안전을 위해 실물이 아닌 적외선 사진 등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전남 목포시는 9일 문화재청이 호남지역 천주교 역사와 가치를 간직하고 있는 목포 경동성당을 등록문화재 제764호로 등록 고시했다고 밝혔다.

목포 경동성당은 목포 일대 도서지방의 선교활동을 위해 아일랜드의 '성 골롬반외방선교회' 지원을 받아 지난 1954년 건립된 성당으로, 목포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레지오 마리애를 도입한 발상지로서의 위상은 물론 웅장한 외관을 가진 석조 건물로 지역을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한 곳으로 평가되는 등 종교사적으로 뿐만 아니라 건축학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 독자분들의 후원으로 더욱 좋은 기사를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하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