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컬처타임즈

유틸메뉴

UPDATED. 2024-04-18 13:17 (목)

본문영역

''재취업 여성 30.5%…1년 이내 그만 둘 계획'' 직장이나 직무 전망이 없어서16%
상태바
''재취업 여성 30.5%…1년 이내 그만 둘 계획'' 직장이나 직무 전망이 없어서16%
  • 전동진 기자
  • 승인 2020.02.02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경력단절을 경험하고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1년 이내 현재 일자리를 그만 둘 계획인 여성이 30.5%인 것으로 조사됐다. 

재취업한 회사를 그만두는 이유로는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16%)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15.7%) ▴이직(11.2%) ▴계약기간 만료(8.3%) ▴결혼/임신/출산(7.7%)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현재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가 아니라고 느끼거나 결혼/임신/출산/가족돌봄 등의 이유가 큰 비율을 차지했다.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한 3명 중 1명(31.7%)은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서’,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 등 현재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가 아닌 것에 대한 불만 때문에 퇴사를 결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혼/임신/출산’, ‘취학자녀교육’, ‘미취학자녀육아’, ‘가족돌봄’을 합한 비율은 20.2%로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한 5명 중 1명 꼴이다.

▲현재 일자리를 그만두는 이유 (출처/서울시)

여성경제활동을 위해 가장 추진하기 바라는 정책은 ‘연령차별 금지 정책’, ‘비정규직 처우 및 근로조건 개선’, ‘돌봄노동 임금 현실화’ 등 이었다. 

서울시와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30~54세 여성(미혼·기혼 포함)중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 여성 1,015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만족도 및 요인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주요 내용을 31일(금)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 1,015명 중 기혼이 55.7%(565명), 미혼이 44.3%(450명)이며, 학력은 4년제 대학졸업이 53.9%(677명)로 가장 많고, 이어 전문대학 졸업, 대학원 졸업 순이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 경력단절여성들은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경력단절로 인한 일 공백’(16.1%)을 꼽았다. 이어서 ‘수입이나 보수가 맞지 않아서’(14.5%), ‘연령차별’(12.9%), ‘학력, 자격증 등 요구조건이 맞지 않아서’(10.9%) 순이다.

과거 주된 일자리에서 현재 일자리 시작까지 경력단절 기간은 평균 4.2년이었다. 구간별로는 ‘2년 미만’이 48.1%로 가장 많았고, ‘2~5년 미만’ 22.9%, ‘5~10년 미만’ 14.7%, 10년 이상 14.1%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일자리와 과거 주된 일자리가 밀접한 정도를 묻는 질문엔 60.9%가 밀접하다고 응답했고, 39.1%는 밀접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현재 일자리 입사 시 과거 일한 경력을 인정받은 비율은 48.1%로 인정받지 않은 비율(51.9%)이 더 높았다. 

▲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은 16%로 나타났다. (출처/서울시)


전체 응답자 1,015명 중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은 16%(166명)로 이 중 50~54세, 고졸이하, 비혼자 집단이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중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여성인력개발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취업에 도움이 된다’ 78.2%, ‘직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61.9%로 대체로 만족 수준이 높았다.

취업지원기관의 취업서비스 중에서는 취업을 위한 직업교육 훈련 소개와 훈련기관 알선, 채용박람회, 이력서 쓰기 교육, 면접 준비 등과 같은 취업을 위한 기초교육 제공 서비스가 취업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여성경제활동을 위해 서울시가 가장 추진하기 바라는 정책 (출처/서울시)

여성경제활동을 위해 서울시가 가장 추진하기 바라는 정책은 ‘연령 차별 금지’ 정책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위해 서울시에 가장 바라는 정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1순위로 ‘연령차별 금지’(16.6%) 정책을 꼽았다. 

그리고 이를 포함해, ‘비정규직 처우 및 근로조건 개선’, ‘돌봄노동 임금 현실화’, ‘노동권이 보장되는 시간제일자리’ 등 노동현장에서의 차별을 개선하거나 금지하는 정책을 바라는 비율이 59.5%로, 10명 중 6명이 차별 없는 고용환경을 원했다.

‘일·생활균형 기업문화 정착’, ‘남성육아휴직 의무화’, ‘정부 아이돌보미 확대’, ‘국공립 어린이집 시설 확충’, ‘초등돌봄 지원’, ‘가족친화 인증기업 확대’ 등 일·생활균형을 위한 정책을 바라는 비율은 27.7%였다.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 독자분들의 후원으로 더욱 좋은 기사를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하단정보